리눅스(RHEL7)
HA 클러스터 RHCS pacemaker 쉽게 개념 잡기
operationsystem
2019. 9. 3. 18:02
HA (High Availability) : 고가용성
HA는 클러스터로 서버의 이중화 작업을 말한다.
HA의 종류에는 RHCS(rhel6 버전)와 pacemaker(rhel7 버전)가 있다.
HA를 구성하는 데 service ip, fence, heartbeat, server가 있다.
클러스터를 구성하는데 기본 구성은 서버3대로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서버2대로 구성하는 데 이유는 비싸기 때문이다..
보통 서버 3대에서 1대:active 2대:standby 로 구성된다.
heartbeat : os에서 장애발생시에 상태 체크를 하고 에러판단시 fence ip를 통해 fence에게 장애 소식을 알린다.
fence : 하드웨어 장치로 heartbeat에 의해 장애 판단을 받으면 fence가 장애 서버를 끈다.
os 장애 발생시 서비스를 끄고 서버를 꺼야하는데
Rgmanager 서비스를 끄고 Cman 서비스를 끈다.
반대로 os를 다시 켤 때
Cman 서비스를 켜고 Rgmanager 서비스를 켠다.
RHCS : 웹 화면을 통해 설정하는 것이 좋다.
pacemaker : cluster.conf 설정파일에서 수정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