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CE 시험

티밍(teaming) 설정

operationsystem 2019. 7. 31. 13:56

- 장치(인터페이스) 확인하기

 

- 디바이스 정보조회

 

-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 티밍 인터페이스를 만든다

 -- 설정할 수 있는 모드 : activebackup, loadbalance, lacp, broadcast, roundrobin

 activebackup : failover runner로 이것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링크 변경을 감시하고 active port를 선택한다

 loadbalance :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패킷 전송에 대한 포트를 선택할 때 완벽한 균형에 도달하기 위해 hash function을 사용한다

 lacp : 802.3ad 링크 aggregation control protocol을 구현한다. loadbalance runner와 동일한 전송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broadcast : simple한 runner로 이것은 모든 포트로 부터 각각의 패킷을 전송한다.

 roundrobin : simple한 runner로 이것은 각 포트에서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각각의 패킷을 전송한다.

 

- 연결 확인

 

- 추가한 티밍 인터페이스를 master로 지정하고 slave 인터페이스를 추가해준다

 

- team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할당해준다

 

- team0에 연결된 포트확인

- team0에서 active port 확인

 

- 현재 active 된 ens33 연결을 끊는다

 

- 다시 active port를 확인한다

2번에서 3번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 team0의 상태를 보면 연결되있는 한개의 포트만 보인다

** ens33을 다시 연결해도 현재 연결되어 있는 포트는 ens38로 나오는데 ens33으로 다시 연결하려면

ens38을 disconnect해주고 다시 연결하면 ens33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