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RHEL7)

네트워크 스위치 개념 이해

레드햇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스위치 개념을 이해하는 도움을 줄 단어들

 

centos와 rhel은 같은 fedora linux에서 뻗어나왔기 때문에

 

개념을 비슷할 거라 생각합니다.

 

스위치

스위치는 현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필수인 장비이다

네트워크 스위치 개념을 이해하는 데 먼저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어의 개념부터 알고가자

 

- 이더넷 허브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여러대의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

한 대의 허브를 중심으로 여러 대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가 마치 별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며 같은 허브에 연결된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는 모두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게 된다

 

- 스위치

허브의 확장된 개념으로 기본 기능은 허브와 동일하지만 전숭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송

 

- switching

스위치에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보내는 곳과 받는 곳을 계산하여 해당포트를 1:1로 연결한다

입출력을 감시하고 장애발생 시 현재상태에서 예비상태로 전환한다

 

스위치 구분

어떤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 하는가에 따라 L2,L3,L4 스위치로 구분된다

L2는 MAC주소, L3는 프로토콜주소, L4는 세션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위칭

 

우리가 작업하는 데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네트워크 스위치는 대표적으로 L2 스위치 이다.


- MAC 주소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식별자
무선 LAN카드 or 무선 LAN기능 내장기기에 개별적으로 부여되는 16진수 12자리의 단말식별번호
OS에 따라 물리적 주소 또는 Wi-Fi 주소라고 표시된다

 ex) pifconfig -> HWaddr 옆 주소
      ip a -> link/ether 옆 주소

 

L2스위치 동작원리

네트워크 스위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L2스위치 동작원리 개념이다.

test FLASH ROM으로 이루어져 있다(프로세서, 메모리, 펌웨어(운영체제))

부팅이 되면 L2스위치는 각 포트별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 상태 확인

각 노드의 MAC주소를 알아내서 메모리에 적재하고 패킷이 전달될 때 이 정보를 바탕으로 스위칭하게 된다

스위치의 운영체제가 적재되거나 스위칭을 할 때 각 포트별 주소정보가 저장된다(-> 스위칭 허브 메모리)

스위칭 허브를 선택할 때 스위칭 허브가 얼마만큼의 메모리와 어느 정도의 주소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보통의 스위치는 메모리 용량이상의 주소가 저장될 경우(연결 노드가 많은 경우) 스위칭 기능이 중지되고, 더미 허브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장비(ex. 공유기)

대부분 가정에서는 네트워크를 1개 사용하지만 기업이나 정부에서는 수 많은 네트워크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비가 라우터이다

스위치 개념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컴퓨터를 스위치에 연결하는 것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