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스위치 개념을 이해하는 도움을 줄 단어들
centos와 rhel은 같은 fedora linux에서 뻗어나왔기 때문에
개념을 비슷할 거라 생각합니다.
스위치 |
스위치는 현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필수인 장비이다 네트워크 스위치 개념을 이해하는 데 먼저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어의 개념부터 알고가자
- 이더넷 허브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여러대의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 한 대의 허브를 중심으로 여러 대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가 마치 별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며 같은 허브에 연결된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는 모두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게 된다
- 스위치 허브의 확장된 개념으로 기본 기능은 허브와 동일하지만 전숭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송
- switching 스위치에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보내는 곳과 받는 곳을 계산하여 해당포트를 1:1로 연결한다 입출력을 감시하고 장애발생 시 현재상태에서 예비상태로 전환한다 |
스위치 구분 |
어떤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 하는가에 따라 L2,L3,L4 스위치로 구분된다 L2는 MAC주소, L3는 프로토콜주소, L4는 세션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위칭
우리가 작업하는 데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네트워크 스위치는 대표적으로 L2 스위치 이다.
|
L2스위치 동작원리 |
네트워크 스위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L2스위치 동작원리 개념이다. test FLASH ROM으로 이루어져 있다(프로세서, 메모리, 펌웨어(운영체제)) 부팅이 되면 L2스위치는 각 포트별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 상태 확인
|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장비(ex. 공유기) |
스위치 개념 |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
'리눅스(RHEL7)'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설치 시 하드웨어 호환 확인하기 (0) | 2020.01.21 |
---|---|
패키지에 없는 rpm 설치 / 실시간 모니터링 watch 명령어 옵션 / yum 로그 확인 (0) | 2020.01.20 |
리눅스 그룹추가 보조그룹 추가 rhel (0) | 2019.12.20 |
리눅스 nfs iscsi FC 차이점 (0) | 2019.11.11 |
HA 클러스터 RHCS pacemaker 쉽게 개념 잡기 (0) | 2019.09.03 |